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는 국내 모든 연구자에게 자연과학 분야 원문복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과학 소식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홍병희 교수팀, 그래핀 활용 휘어지는 조명 시제품 제작 성공

seoulfric 2012. 1. 27. 14:30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활용해 면 형태의 플렉서블(휘어지는) 백색조명 시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다양한 색깔로 빛나는 커튼이나 벽지로 집을 꾸밀 수 있게 된다.


이태우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 안종현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 홍병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성과를 내 광학분야 권위지 ‘Nature Photonics’(IF: 26.506)에 실었다고 10일 발표했다. 그래핀을 통해 둘둘 말아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디스플레이나 조명을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은 계속 제기돼 왔으나 상용화에 근접한 제품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통해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백색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제품을 먼저 만든 후 이를 토대로 면 조명을 제작했다.


보통 OLED의 전극에는 인듐주석산화물(ITO)이 사용됐다. 앞서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 등이 ITO를 그래핀으로 대체한 OLED 시제품을 선보인 적이 있다. 그러나 효율이 좋지 않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래핀을 필름 등 매우 얇은 막 형태로 가공할 때 생기는 높은 저항 때문이다. 이 저항 때문에 전자제품의 작동전압이 너무 높아져 현실에서는 쓸 수 없는 제품이 된다는 것이 문제였다. 연구팀은 그래핀에 특수 화학 도핑 처리를 해 면 저항을 적게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또 OLED 안에서 전하가 보다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도 개발했다. 백색 OLED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적색 녹색 파란색 유기화합물 층이 쌓여 있다. 이 층 사이로 전자(-전하 운반)와 정공(+전하)이 왔다 갔다 하면서 결합과 분리가 잘 돼야만 세 가지 층이 잘 섞여 백색 빛이 난다. 이때 음극에서는 일함수(전극에서 전자 하나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낮고, 양극에서는 반대로 일함수가 높아야 좋다. 음극에서는 전자가, 양극에서는 정공이 나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OLED 양극에 사용한 그래핀의 일함수를 기존 4.4전자볼트(EV)에서 약 6EV까지 끌어올렸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개발한 OLED의 발광 효율이 102.7루멘(lm)/W(와트)로 백열등(16lm/W), 형광등(85lm/W)보다 월등히 높았다고 논문에서 밝혔다. 또 ITO 전극을 사용하는 OLED에 비해서도 효율이 20% 이상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태우 포스텍 교수는 “면 조명의 이상적(ideal) 형태는 커튼이나 벽지처럼 고급스러운 집을 꾸밀 수 있는 제품”이라며 “5년 안에는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이 교수뿐 아니라 포스텍 출신으로 그래핀 연구에 정통한 안종현 성대 교수와 홍병희 서울대 교수가 2년여 전부터 참여했다. OLED에 쓰이는 ITO 전극을 그래핀으로 바꾸자고 의기투합한 것이 연구의 계기가 됐다. 안 교수와 홍 교수는 그래핀을 적시에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 홍 교수는 “기존 OLED 전극 소자와 달리 그래핀은 일함수를 조절할 수 있고 수분 및 산소 차단 능력과 열 배출 능력이 뛰어나다”며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OLED 조명 시장을 그래핀으로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ura.iceserver.co.kr/view.php?board_name=tbl_actual_board&code=01&id=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