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성균관대는 화학공학부 박남규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갖춘 양자점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2~3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유무기 복합 양자점을 나노구조 필름 표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표준 조건에서 6.5%의 변환 효율을 갖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기존의 양자점 태양전지는 황ㆍ셀레늄 등이 포함된 칼코겐 화합물을 이용해 최고 효율이 4~5%에 그쳤지만 새로 개발한 태양전지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복합된 페로브스카이트계 양자점을 이용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양자점은 전자를 가둬놓을 수 있는 반도체 결정이 수 나노미터 크기의 구 형태를 띠는 나노 소재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중견연구자 도약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