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는 국내 모든 연구자에게 자연과학 분야 원문복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과학 소식 1067

길 열린 ‘중성미자 연구’…한국 노벨물리학상 열리나

[중앙일보 박방주] 김수봉 교수 우주의 '유령 입자'로 불리는 중성미자(中性微子·neutrino) 검출 장비가 국내에 구축됐다. 이에 따라 우주 생성의 비밀이 담긴 중성미자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국제 물리학계의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한발 앞서게 됐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수봉 교수팀은 전남 영광 원자력발전소 인근 두 곳 지하에 터널을 파 중성미자 검출 장비를 설치했다. 정부 연구비 116억원이 들었다. 국내에 거대한 중성미자 검출 시설이 건설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개의 중성미자 검출 시설은 영광 원전에서 290m 떨어진 지점과 1.4㎞ 떨어진 곳에 각각 세워졌다. 원자로에서 핵 분열 때 나오는 중성미자를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에서 각각 측정해 처음 발생한 분량에서 거리에 따라 얼마만큼이 다른 것으..

과학 소식 2011.05.04

'노벨상 기원' 老동문 서울대에 잇단 기부

세 차례 걸쳐 1억5천만원…"부족한 것 같아 보탰을 뿐"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한 80대 서울대 동문이 노벨 화학상 수상자 배출에 기여하고 싶다며 아껴 모은 재산을 연달아 모교에 내놓았다. 올 2월 "노벨상 수상자에게 주라"며 1억원을 기부하고 지난달 28일 "연구실 개선에 쓰라"며 3천만원을 전달한 데 이어 3일 2천만원을 더 냈다. 실명을 밝히기를 사양한 노(老)신사(81)는 3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무래도 조금 부족한 것 같아서 좀 더 보탰다"고 추가 기부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노벨 화학상을 타려면 여유가 있어야 할 것 아닌가. 얼마 전에 연구실 실험·실습에 보태 쓰라고 3천만원을 냈는데 좀 더 충분하게 해보자 싶은 생각이 들어 오전에 추가로 송금했다"고 말했다. 이어 "무한..

과학 소식 2011.05.04

114번째 원소 ‘코리아늄’ 찾아라

[한겨레] 희귀원소 가속해 희귀원소 생성 우주탄생의 비밀 등 밝힐 열쇠 중이온가속기의 용도 원소 주기율표에서 32번 게르마늄은 독일, 44번 루테늄은 러시아, 87번 프랑슘은 프랑스, 95번 아메리슘은 미국이 그 어원이다. 루테늄은 러시아의 라틴어 ‘루테니아’에서 나왔다. 113번째 원소 ‘우눈트륨’은 2004년 러시아와 일본이 잇따라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 공식 이름을 얻지 못했다. 일본은 ‘자포늄’ 또는 ‘리케늄’(일본이화학연구소 리켄에서 딴 이름)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해놓고 있다. 우리나라가 원자번호 114번의 새로운 원소를 발견한다면 ‘코리아늄’이라는 이름으로 주기율표에 올릴 수 있다. 물리학계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에 설치될 중이온가속기가 이런 ‘꿈’을 현실로 만들어줄 것으로 ..

과학 소식 2011.05.03

장애인 과학자 키우는 ‘한국의 호킹’

[중앙일보 강신후] '한국의 스티븐 호킹'으로 불리는 서울대 이상묵(49·지구환경과학·사진) 교수가 장애인 과학자 양성에 나섰다. 28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교수는 이번 학기부터 자연과학대학 내에 '계산과학 연합전공' 과정을 신설했다. 자유롭게 실험과 관측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미래를 예측하는 계산과학 분야가 적합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계산과학은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실험이 어려운 자연현상을 계측하는 학문이다. 공학·금융·경제는 물론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영화의 특수효과 등 문화분야에도 적용된다. 계산과학 연합전공은 2학년을 마친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인문사회·예체능 계열 학생들에게도 문호가 개방된다. 올해 첫 학기엔 6명이 이 전공을 선택했고, 이 가운데 1명은 장애 학..

과학 소식 2011.05.03

인류 역사상 처음 태양계 바깥 본다

[서울신문] 인류가 만든 인공구조물이 태양계를 벗어날 날이 임박했다. 인류 역사상 처음 태양계 밖의 광활한 우주에 인간이 만든 우주선이 첫발을 내딛게 되는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1977년 발사된 쌍둥이 태양계 탐사위성 보이저 1호와 2호가 태양계 가장자리에 도달했다고 밝히고 5년 안에 성간 우주로 발을 들여놓게 됐다고 덧붙였다. 보이저 1, 2호가 여행하고 있는 지점은 태양계 외곽 경계선이라 할 헬리오시스다. 태양계와 외부 우주 공간 사이의 경계지대로, 지금까지 그 어떤 우주선도 도달하지 못한 지점이다. 나사 측은 “거대한 태양계를 벗어나기 직전인 두 탐사선이 현재 헬리오시스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나사 측은 이어 헬리오시스를 가리켜 “자기 거품으로 가득 차 태양..

과학 소식 2011.05.03

신의 입자 ‘힉스’ 찾았나 … 세계 물리학계 깜짝 소동

[중앙일보 김한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있는 입자가속기(LHC)의 아틀라스 검출기. [CERN 홈페이지] 지난 21일(현지시간) 세계 입자물리학계에 '깜짝 소동'이 벌어졌다. 미국 컬럼비아대 수학과 교수 피터 오이트의 블로그에 올라온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내부 문건' 때문이다. CERN이 운용 중인 입자가속기(거대강입자충돌기·LHC)에서 힉스 입자가 검출됐다는 내용이었다. 힉스는 우주의 구성 원리를 밝힌 '표준 모형(standard model)' 이론의 마지막 남은 '연결고리'다. 흔히 '신의 입자' 로 불리지만 아직까지 존재가 입증되지 않고 있다. 영국의 과학전문잡지 뉴사이언티스트 등은 이 문건의 진위를 놓고 세계 물리학자들 간에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의 문건은 C..

과학 소식 2011.04.25

우리나라 과학기술 이해도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윤)은 지난 23일, '2010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2008년에 비해, 성인 기준으로 관심도는 '08년 49.3점에서 49.9점으로, 이해도는 26.3점에서 27.9점으로 상승하여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0년 12월14일부터 12월31일까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남여 1,046명과 중‧고등학생 1,112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하였으며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각각 ±3.0%포인트와 ±2.9%포인트이다.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도 조사'는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

과학 소식 2011.04.25

세계 최고 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서울대 박영준 교수 연구팀 성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감도와 측정 범위를 갖춘 고성능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서울대학교는 박영준 전기공학부(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이 나노 물질과 기존 반도체를 결합한 나노 바이오센서 칩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바이오센서는 생물의 다양한 반응 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기적 변화를 감지해 특정 유기화합물 등의 존재나 상태, 농도 등을 측정하는 장비를 말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센서는 100펨토몰라(femto molar;물방울 1㎕당 분자 5만개 정도 농도) 수준의 특이 DNA 분자까지 판별이 가능할 만큼 고감도를 자랑한다. 더구나 측정 가능한 농도 범위도 7오더(7order;범위 내 최..

과학 소식 2011.04.22

Primordial Weirdness: Did the Early Universe Have One Dimension? Scientists Outline Test for Theory

ScienceDaily (Apr. 20, 2011) — Did the early universe have just one spatial dimension? That's the mind-boggling concept at the heart of a theory that University at Buffalo physicist Dejan Stojkovic and colleagues proposed in 2010. Scientists have outlined a test for "vanishing dimensions" hypothesis, which, if proven, would address major problems in particle physics. (Credit: iStockphoto/Mihail ..

과학 소식 2011.04.21

Mathematical Model Simulating Rat Whiskers Provides Insight Into Sense of Touch

ScienceDaily (Apr. 7, 2011) — Researchers at Northwestern University have developed a mathematical model that will allow them to simulate how rats use their whiskers to sense objects around them. The model enables further research that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human sense of touch. Hundreds of papers are published each year that use the rat whisker system as a model to understand brain devel..

과학 소식 201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