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서울대학교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는 국내 모든 연구자에게 자연과학 분야 원문복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분류 전체보기 3445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E : Planets v.116 July 2011

ISSN 0148-0227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inertia of homogeneous Martian regolith Piqueux, S., and P. R. Christensen J. Geophys. Res., 116, E07004, doi:10.1029/2011JE003805 Publication Date: 21 July 2011 18 pages, 14 figures Dayside ionosphere of Mars: Empirical model based on data from the MARSIS instrument Němec, F., D. D. Morgan, D. A. Gurnett, F. Duru, and V. Truhlík J. Geophys. Res., 116..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D : Atmospheres v.116 July 2011

ISSN 0148-0227 The energy cycle and structural evolution of cyclones over southeastern South America in three case studies Dias Pinto, J. R., and R. P. da Rocha J. Geophys. Res., 116, D14112, doi:10.1029/2011JD016217 Publication Date: 26 July 2011 17 pages, 14 figures Seasonal variations of gravity wave activity in the lower stratosphere over an Antarctic Peninsula station Moffat-Griffin, T., 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 : Oceans v.116 July 2011

ISSN 0148-0227 A parameterization of the ice-ocean drag coefficient Lu, P., Z. Li, B. Cheng, and M. Leppäranta J. Geophys. Res., 116, C07019, doi:10.1029/2010JC006878 Publication Date: 23 July 2011 14 pages, 9 figures, 2 tables Spatial and temporal coherence between Amazon River discharge, salinity, and light absorption by colored organic carbon in western tropical Atlantic surface waters Salisb..

Research Outlines Math Framework That Could Help Convert 'Junk' Energy Into Useful Power

ScienceDaily (July 20, 2011) — A University at Buffalo-led research team has developed a mathematical framework that could one day form the basis of technologies that turn road vibrations, airport runway noise and other "junk" energy into useful power. When "designer" particles like these are placed next to one another, the way mechanical energy travels through them is profoundly affected, accor..

과학 소식 2011.07.26

<과학> 우주서 지구 물 140조배 물 덩어리 발견

지금까지 발견된 물중 가장 最古인 동시에 最多 (서울=연합뉴스) 지구로부터 120억광년 떨어진 우주 가장자리에서 지구의 모든 바닷물을 다 합친 양의 140조 배에 달하는 물이 발견됐다고 스페이스 닷컴과 사이언스 데일리가 23일 보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과학자들이 이끄는 두 국제 연구진은 120억 광년 거리에 있는 초거대 블랙홀(퀘이사) 주변에서 지금까지 우주에서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큰 수증기 덩어리를 발견했다고 천체물리학 저널에 동시에 발표했다. 이는 이 물 덩어리가 우주의 나이가 불과 16억살이었을 때부터 존재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가장 오래된 물의 연대를 10억년이나 앞당기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말했다. 연구진은 질량이 태양의 200억배, 방출 에너지는 태양보다 1천조배나 많은..

과학 소식 2011.07.26

힉스입자 추적 50년 만에 단서 포착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아틀라스 검출기. 유럽연구소 이어 미국 페르미연구소도 힉스가 붕괴시 생기는 입자 발견 모습을 드러내는가. 1964년 그 존재에 대한 예측이 나왔으나 이후50년이나 발견되지 않은 힉스(Higgs) 입자의 꼬리가 드디어 밟힌 것 같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와 미국 페르미연구소가 잇따라 힉스의 단서를 포착했다고 영국의 BBC가 보도했다. 물리학 표준모형을 완성할 '역사적 발견'을 앞두고 물리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페르미연구소의 가속기 테바트론 연구진은 힉스가 붕괴할 때 생성되는 입자(W보존)를 관측했다고 24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열린 유럽고에너지물리학회에서 발표했다. 앞서 22일 같은 학회에서 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가속기(LHC)가 비슷한 실험결과를 발표한 데 이..

과학 소식 2011.07.26